온라인으로 병원 진료내역 조회 가능한 것을 알고 있으신가요? 진료받은 내역 조회 서비스는 온라인으로 조회한 날을 기준으로 14개월전 진료분부터 1년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오늘은 이러한 병원 진료내역 조회 방법 3가지를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아래의 안내에 따라 원하시는 방법으로 병원 진료내역 조회를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진료내역 조회 방법

병원 진료내역 조회 방법 (정부24)


정부24 홈페이지 접속하신 후 “진료받은 내역” 서비스를 통해 병원 진료내역 조회가 가능합니다. 정부24 홈페이지로 이동하시어 “진료받은 내역”을 검색하시거나 아래의 “정부24 진료받은 내역 조회하기”를 통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민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한 방편의 일환으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본인이 진료받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입니다.

정부24 진료받은 내역

병원 진료내역 조회를 위해서는 본인확인용 인증서가 필수입니다. 아래와 같이 본인확인 정보 입력 후 간편인증 또는 공동인증서를 통해 본인인증을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부24 본인확인

그럼 다음과 같이 수진자 그리고 진료개시일 기간을 설정하시어 검색할 수 있습니다. 진료받은 내용은 조회한 날을 기준으로 14개월전 진료분부터 1년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부24 진료받은 내역 기간 설정

조회를 하시면 아래와 같이 진료내역 조회가 가능합니다. 병 · 의원(약국)명칭, 진료개시일, 진료형태, 부담금 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24 진료받은 내역 조회 결과

병원 진료내역 조회 방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도 내 진료정보 열람이 가능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 > 조회 · 신청 > 내 진료정보 열람 또는 아래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 진료정보 열람” 바로가기를 통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병원 진료내역 조회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본인인증이 필수입니다. 간편인증, 모바일 인증, 공동인증서 인증로 본인확인을 진행해주시기 바랍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내 진료정보 열람

그럼 아래와 같이 보험종별 선택, 대상기간 설정 등을 하신 후 조회가 가능합니다. 진료정보는 조회 시작일을 기준으로 1년간 내역을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정보 조회

그럼 아래와 같이 병·의원&약국별 개인진료정보요약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병·의원&약국, 입원(외래)일수, 총 진료비 등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며 상세보기를 조금 더 상세한 정보를 확인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진료정보 조회 결과

병원 진료내역 조회 방법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도 진료 및 투약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 건강iN > 나의건강관리 > 진료 및 투약 정보 또는 아래의 “국민건강보험 진료 및 투약정보” 바로가기를 통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의 진료 및 투약정보 조회 결과가 실제 내역과 다른 경우에는 진료받은 내용 및 신고하기 또한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진료 및 투약정보

기간 설정 후 조회하시게 되면 아래와 같이 병원 진료내역 조회 가능하며, 혹시나 실제 내역과 다른 경우에는 “다름” 버튼을 클릭하시어 신고가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 진료 및 투약정보 조회 결과

이상으로 병원 진료내역 조회 방법 3가지 정보를 공유해드렸습니다. 정부2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조회가 가능하오니 위의 방법 참고하시어 내가 받은 병원 진료내역 조회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혹시나 진료내역이 실제와 다를 경우에는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만 신고가 가능하오니 이점 참고하시기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