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부의금 봉투쓰는법, 조의금 봉투 쓰는법 안내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장에 조문을 가게 된다면 장례식장 예절, 장례식장 복장 등 신경을 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부의금 봉투 쓰는법, 조의금 봉투 쓰는법 또한 혹시나 잘못 쓰지 않을까 걱정되어 해당 포스팅을 보게 되셨을 것입니다. 아래에서 부의금 봉투 쓰는법, 조의금 봉투 쓰는법 안내를 해드리오니 확인 후 올바르게 부의금 봉투, 조의금 봉투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법
부의금 봉투 쓰는법

부의금 봉투 쓰는법 / 조의금 봉투 쓰는법

봉투 앞면

부의금 봉투, 조의금 봉투 앞면에는 추모의 의미를 담은 한자어를 적습니다. 부의(賻儀)라고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근조(謹弔), 추모(追慕), 추도(追悼), 애도(哀悼), 위령(慰靈)을 적기도 합니다.


부의(賻儀)

  • 상을 치루고 있는 곳에 보내는 돈 또는 물품
부의(賻儀)

근조(謹弔)

  • 죽음에 대해 삼가 슬퍼하는 마음
근조(謹弔)

추모(追慕)

  • 돌아가신 분을 그리며 생각함
추모(追慕)

추도(追悼)

  • 돌아가신 분을 생각하며 슬퍼함
추도(追悼)

애도(哀悼)

  • 죽음에 대해 슬퍼함
애도(哀悼)

위령(慰靈)

  • 돌아가신 분의 영혼을 위로함
위령(慰靈)

봉투 뒷면

부의금 봉투, 조의금 봉투 뒷면에는 본인의 이름과 소속을 세로로 기재합니다.

  • 이름 : 봉투 뒷면 왼쪽 하단
  • 소속 : 이름의 오른쪽 위
봉투 뒷면

이상으로 부의금 봉투 쓰는법, 조의금 봉투쓰는법 안내를 해드렸습니다. 부의금 조의금은 홀수단위(3, 5, 10, 15)로 내며, 새돈이 아닌 헌돈을 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조심스러운 자리이니만큼 문상 예절 또한 중요합니다. 한국장례협회 홈페이지에서는 장례식 복장 및 문상예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장례식장 예절 및 복장 안내 바로가기”를 통해 확인하신 후 문상가시기 바라며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